서버 간 동기화 - 버전 2
SUSE Manager 설치가 두 개 이상 있는 경우 서버 간에 내용을 복사해야 합니다. ISS(서버 간 동기화)를 사용하면 한 서버(소스)에서 데이터를 엑스포트하고 다른(대상) 서버로 임포트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허브 배포 시나리오 또는 연결이 끊긴 설정의 경우에 유용합니다.
버전 2 ISS 구현에서 SUSE는 마스터/슬레이브 개념을 제거했습니다. 모든 SUSE Manager 서버 간에 내용을 임포트 및 엑스포트할 수 있습니다. |
1. ISS 패키지 설치
ISS를 사용하려면 소스 및 대상 서버에 inter-server-sync
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.
2. 컨텐트 동기화
서버 컨테이너 내에서 단계를 실행하기 전에 |
-
At the command prompt of the SUSE Manager container host of the source server, as root, enter the server container:
mgrctl term
-
컨테이너 내에서 다음 단계를 실행하십시오.
-
Execute the ISS export command. The
-h
option provides detailed help:inter-server-sync export -h
-
엑스포트 절차를 수행하면 출력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임포트 절차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포함됩니다.
To avoid data loss or filling up the container file system, store the data on a persistent volume (preferably |
Contents from the source server needs to be synchronized to the target server.
-
At the command prompt of the SUSE Manager container host of the source server, as root, enter the server container:
mgrctl term
-
컨테이너 내에서 다음 단계를 실행하십시오.
-
Synchronize to the target server:
rsync -r <PATH_EXPORTED_DIR> root@<TARGET_SERVER>:~/
-
모든 내용이 복사되면 임포트를 시작합니다.
-
At the command prompt of the SUSE Manager container host of the target server, as root, enter the server container:
mgrctl term
-
컨테이너 내에서 다음 단계를 실행하십시오.
-
Execute the ISS import command. The
-h
option provides detailed help:inter-server-sync import -h
-
3. 데이터베이스 연결 구성
데이터베이스 연결 구성은 기본적으로 /etc/rhn/rhn.conf
에서 로드됩니다. 속성 파일 위치는 --serverConfig
파라미터로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.
4. 알려진 제한 사항
-
소스 및 대상 서버는 동일한 버전이어야 합니다.
-
엑스포트 및 임포트 조직은 이름이 정확하게 동일해야 합니다. 조직 이름은 대/소문자를 구분합니다.